본문 바로가기
일상 이야기

서울교통공사 면접 후기 및 준비 방법(23년 하반기 신호)

by aplacalife 2024. 3. 29.
반응형

서울교통공사 필기시험 후기 및 복원(23년 하반기 신호)

 

서울교통공사 필기시험 후기 및 복원(23년 하반기 신호)

서울교통공사 23년 하반기 공채가 파업의 여파로 인해 24년 올해 초까지 넘어왔고, 글을 쓰는 지금은 24사번으로 최종 합격하게 되어 교육 중에 있습니다. 그동안 다른 회사를 다니면서 여러 차례

jjinhan-life.tistory.com

 

필기시험 후기에 이어서 면접 후기를 들려드리고 어떻게 준비했는지 말씀드릴까 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1. 면접 시험 진행 절차

3명이 한 조를 이룹니다. A조 지원자 1, 2, 3번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대략 6명 정도를 호명을 하고 PT 면접을 위한 발표내용 준비하는 방 앞에서 대기를 합니다.

A조 1번 지원자가 먼저 방에 들어가서 PT면접 발표 내용 준비 시간을 가집니다.

5분 정도 뒤에 2번 지원자가 들어가고, 그다음 또 5분 뒤에 3번 지원자가 들어갑니다.

(5분이었는지 10분이었는지 정확히 기억은 안나구요 두 시간 중에 하나입니다.)

 

1번 지원자가 20분동안 발표준비를 하고 가서 발표를 하고 마칠 때쯤

2번 지원자가 발표 준비를 다 하고 발표하는 방 앞에서 대기(약 1분 정도)를 하면서 발표 안내사항을 안내자께 전달받습니다.

발표 시간은 몇 분(저는 오전 제일 늦은 타임이라 시간 없다고 1분으로 하라고 하심) 정도로 마무리하라고 알려주시고, 발표하면서 본인이 준비한 발표 종이를 원칙적으로는 볼 수 없으나, 대놓고 보지 말고 작게 접어서 살짝살짝 참고할 정도는 괜찮다고 안내를 해줍니다.

 

그렇게 나와서 A조 3명 모두가 PT 면접을 마칠 때까지 대기를 하고 다 같이 집단 면접을 진행합니다.

 

PT 면접은 면접관 5~6명이었던 거로 기억합니다.

발표가 끝나면 질문을 하시구요. 발표 내용과 관련이 없는 질문도 있을 수 있습니다.

집단 면접은 면접관 5명이 앉아 계셨고, 지원자는 3명입니다.

자기소개는 없었고, 5개의 질문을 면접관 별로 1개씩 받았습니다.

 

 

2. 면접시험 문제 유형

면접시험은 PT 면접과 집단(인성) 면접 두 가지 형태로 진행되는데요.

필기 후기처럼 시원하게 어떤 질문이 있었는지부터 말씀드릴게요.

PT 면접
  • 지문: 한국의 철도산업과 관련하여 열차운전과 관련된 기술적 발전동향(주로 장점 설명)
    발표: 이것에 대한 장점과 단점 그리고 보완점에 대해 발표하세요.
  • 발표 후 질문 1) 대향과 배향을 설명해 주세요.
  • 발표 후 질문 2) 한국의 철도 자동운전 4단계를 알고 계신가요?
  • 발표 후 질문 3) 제가 발표한 보완점 내용에 대하여 그 방법론에 대한 질문
집단(인성) 면접
  • 자기소개 없음
  • 팀워크와 관련하여 다른 사람을 배려하거나 도운 경험이 있나요?
  • 본인이 생각하는 윤리와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 예를 들어주세요.
  • 일과 삶의 균형이 중요하다 본인의 비슷한 경험을 들려주세요.

23년 하반기 서울교통공사 채용공고 면접시험 발췌

공고문에서 발췌한 면접시험에 대한 안내 내용입니다. 참고해 주세요.

 

PT면접은 20분 정도 준비시간이 주어지고 1분~1분 30초 정도 발표를 하고 질문을 받습니다.

지문의 내용은 제 기준 그렇게 어렵지 않았습니다. 발표 요구사항에 대한 답을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는 지문이었구요. 발표 후에 있는 질문에서는 발표 내용과 관련이 없는 질문도 있었습니다.

 

저는 오전 마지막 순서로 진행을 해서 시간이 부족해서인지 1분 정도로 짧게 발표를 해달라고 안내를 받았었습니다.

 

인성면접은 제가 위에 3가지를 적었는데 실제로는 면접관 5분께서 하나씩 질문하셔서 총 5개의 질문을 받았구요. 나머지 2개는 지금 기억이 안 나지만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인성면접 기출 질문들 중에 있었습니다. 그리고 1분 자기소개는 없었습니다.

 

 

3. 면접시험 준비 방법

PT 면접 준비 - 논문

무료 논문보기 사이트 사이언스 온 링크

 

https://scienceon.kisti.re.kr/com/redirectMove.do;jsessionid=3B49182566AA307421D662769DE05DA2.scienceon_left

 

scienceon.kisti.re.kr

 

NCS 학습모듈 사이트 링크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블라인드채용

NCS 메인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및 블라인드 채용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유용한 컨텐츠를 만나 보세요

www.ncs.go.kr

 

저는 PT 면접을 신호공학 이론적인 내용들을 정리한 것과 기출문제 하나랑 논문으로 준비를 했습니다.

 

이론 내용들은 ATS, ATP, ATS, 연동장치 구성, 분기기, 신호기, 쇄정 등 비교정리할 수 있는 것들 모아서 이론정리를 했구요. 여기 이론 정리한 것에서 PT면접 때 선로전환기 대향 배향 설명하라고 질문을 받았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으로 뒤지고 뒤져서 찾은 기출문제는 2호선 ATS, 계전연동장치에서 ATO, 전자연동장치로 개량공사할 때 두 가지 시스템을 병행운전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이었습니다. 질문은 공사 직원으로서 해야 하는 노력과 시스템 전환 후 기여방안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제가 답변을 만들어보는 연습을 했구요. 찾다 보면 흔히 나오는 사무직렬 쪽 기출문제는 쳐다도 보지 않았습니다. 문장, 문단을 구성하는 연습을 하기에는 좋을지 몰라도, 시간낭비라고 생각했습니다.

 

기출지문을 보면서 PT 면접 지문이 단순히 이론적인 거보다는 실제 현장 업무나 철도산업과 관련된 내용이 나올 거라고 생각을 했고, 이런 거 비슷한 내용들을 어디서 볼 수 있을까 고민하다 논문이 떠올랐습니다.

철도신호시스템 논문이라고 구글링을 해서 나오는 논문들을 하나하나 다 열람했고요. 그러다 무료로 논문을 볼 수 있는 사이트까지 알게 되어 철도신호시스템 검색해서 나오는 논문 최신순으로 나열해서 나올 법 한 내용의 논문들을 다운받았습니다. 링크는 위에 적어두었으니 참고하세요.

 

정락교, 김백현, 강석원, 박건원 저) 철도신호시스템 병행운전(ATS/ATC)에 따른 ATS신호기 오동작 개선 논문 발췌

 

논문을 여러 개 읽다 보면 너무 한국 철도 신호시스템의 발전방향에 대해 알 수 있구요. 현재 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호선별 신호시스템 현황과 비교내용들을 알 수 있습니다. 논문도 처음부터 자세하게 다 읽은 게 아니고 비슷한 내용들이 반복됩니다.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현황이나 장단점, 앞으로의 발전방향 등과 관련된 내용만 콕 집어 읽었습니다.

제가 찾은 기출문제도 논문에서 정말 똑같은 내용으로 찾을 수 있었고, 실제로 논문에서 읽었던 ATO 자동운전과 관련된 내용들이 면접 지문으로 나왔습니다. 그리고, 추가 질문이었던 열차 자동운전 단계도 논문에서 찾을 수 있는 내용이었습니다. 아, 제 동기는 호선별로 어떤 신호시스템으로 운영 중인지 물어보기도 했다고 하네요.

 

앞으로 있을 면접에서 어떤 PT지문이 나올지 모르겠으나 논문이 진짜 진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발표 내용을 글을 연결하는 연습대신 구조화하는 연습으로 단어 하나(예, ATS ATO)를 적고 그거에 대해 설명하는 연습을 했습니다. 문장을 막 길게 길게 쓰고 문단끼리 내용을 잇고 하는 연습을 하지 않은 이유는 기술을 다루는 글은 단순하기 때문입니다.

 

중학교 때 선생님께서 하신 말씀이 아직도 기억나는데요, 문과 성향 친구들은 문장이 매끄럽게 이어지면서 그 책에 대해 생각하게 되고 감성적인 글을 쓰는 반면에 이과 성향 친구들은 첫째, 둘재, 셋째 이런 식으로 구조화해서 쓴다고 하셨습니다.

 

논문을 읽다 보면 느끼실 겁니다. 기술을 다루는 글은 구조화되어 있습니다. 큰 틀로 봐서 서론 본론 결론이 있는 건 당연하구요. 본론에서조차 현황 하나, 둘.. 문제점 하나, 둘.. 해결방법 하나, 둘.. 이런 식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글을 구조화하는 연습을 했습니다.

 

NCS 학습모듈 전자연동장치유지보수.pdf 발췌

 

그리고 하나 더 추가를 하자면 NCS 학습모듈인데요. 진짜... 실제로 업무를 진행하면 이렇게 하겠구나 싶을 정도로 신호설비 유지보수 하는 방법에 대해 아주 자세하게 나와 있습니다.

(링크: https://www.ncs.go.kr/unity/th03/ncsSearchMain.do?tabNo=1)

몇 개 읽다가 너무 자세해서 PT 면접까진 나오지 않겠다 싶어 더 이상 읽지 않았지만, 현장에서 실제 업무를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시다면 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집단 면접 준비 - 널리고 널린 기출과 자소서
  • 인터넷 면접 기출 검색
  • 경험 정리 후 키워드로 답변 정리하며 발표 연습
  • 서울교통공사 홈페이지 경영목표, 경영실적, 사업목록
  • 공취사 무료 배포 자료

집단 면접, 인성 면접은 기출 질문이 널리고 널렸죠 ㅎㅎ 널리고 널린 기출들에 대한 답변을 제 경험을 정리하면서 키워드 단어로 적고 말하는 연습을 했습니다.

의사소통 관련 질문이면 이 경험을, 동료와의 팀워크 질문에는 이 경험을 하면서요.

그리고 무엇보다 제가 제출한 자소서 다시 불러와서 어떤 내용으로 어떤 경험을 끄집어내어 답변을 했는지 확인했어요. 자소서 질문들이 면접에서 나올 법한 의사소통이니 문제해결이니 하는 질문들이 잖아요. 그걸 말로 하는 거 연습했습니다.

 

그리고, 서울교통공사 홈페이지에서 경영목표, 해당 년도 사업목록, 경영실적 등을 찾아서 읽어보았구요. 공취사에서 배포하는 무료자료 읽었습니다. ㅎ

 

18년도지만, 지인이 운영하는 역 수, 총 km 수 등을 질문받았다 해서 그런 거 외웠구요.

 

개인적으로 집단 면접은 어른이랑 편하게 대화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서 서교공 관련해서 알아야 할 거만 외우고 부담 없이 보았습니다.

 

말하는 거 연습에 대한 제 생각을 말씀드리면, 저는 문장을 다 구성하지 않고 중요한 키워드 단어들을 몇 개 정해서 그것들을 연결하면서 말하는 연습을 합니다. 문장을 적게 되면 암기를 하게 되고, 암기하다 막히는 순간 머리가 하얘지거든요. 말하기 연습은 긴장하지 않는 게 제일 중요하고, 말하는 경험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저는 중소기업을 다니다가 중고신입으로 지원한 거라 어른들과 협력업체 직원들과 대화 한 경험이 있으니 면접관이 협력업체 아저씨다 생각하고 아주 편하게 말을 했습니다. 그런 자연스러움이 면접관 입장에서도 듣기에 보기에 편하구요.

 

말하는 경험이 없으시다면 많이 해보시는 게 어떨까요? 친구들보다도 엄마 아빠나 주변 어른들과 대화하듯 연습하는 거 추천드립니다. 부모님께서 하시는 "네가 회사 다니면서 동료랑 말이 잘 안 통해 어떻게 할 거냐"라는 질문에 답한다는 생각으로요.

 

보통 오전 끝자락이면 아침부터 면접하신다고 면접관님들께서 지치셔서 표정도 어둡고 질문도 빠르게 하시고 반응도 별로 없으시잖아요. 윤리 관련해서 본인 생각이랑 실생활 적용하는 거 질문받았을 때, 제가 "왜 주변에서 사람들이 법 없이도 살 사람이라는 얘기들을 하잖습니까? 그 단어를 듣는 거야 말로 윤리적인 삶을 사는 사람의 표본이 아닐까 싶습니다. 실제로 저는 횡단보도를 건널 때 운전할 때 신호위반도 안 하려고 하고, 양보운전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라고 대답하니 정확히 면접관 두 분이 웃으셨습니다. 이게 비웃는 건지 뭔지 모르겠지만, 어두운 표정에서 약간 얘 봐라? 하는 생각을 들게 끄름 마음을 녹이고, 편안하게 들을 수 있는 답변이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4. 면접 전형 발표

면접기간은 전체 직렬 다 해서 일주일 정도 였구요. 본인 직렬에 맞게 면접 날짜를 따로 알려줍니다.

보통 기술직렬은 마지막 날에 보는 거 같습니다. 이번에 저도 제일 마지막 날에 면접 보았습니다.

 

면접 전형 발표는 모든 직렬 면접이 끝나는 날인 2월 13일로부터 일주일 정도 뒤인 2월 19일 오전 10시에 발표되었습니다. 그리고 면접 발표와 함께 채용신체검사 일정을 알려줍니다.

신호직군은 승무와 같이 차량운전과 관련된 직렬이어서 그런지 신체검사를 받더라구요.

 

23년 하반기 서울교통공사 면접시험 합격발표

 

뭐 이거 합격으로 전문가처럼 장황하게 썼는데, 시험 준비 하면서 아는 사람도 없고 신호직렬과 관련해서 필기시험 때부터 이렇다 할 정보가 많이 없어서 저 혼자 불안해하고 엄청 끙끙대면서 준비했거든요.

취준 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주저리주저리 적어보았습니다.

 

그럼 취준생 여러분 모두 파이팅입니다!!!!

반응형